본문 바로가기
문화토픽

발레 호두까기 인형, 유니버설발레단 공연, 호프만 원작 동화와 차이코프스키

by 호외요! 2023. 11. 18.
반응형

E.T.A 호프만의 원작 동화를 바탕으로 차이코프스키가 곡을 입힌 인기 발레 <호두까기 인형>이 연말에 세종, 천안, 진주, 고양, 울산, 서울에서 공연된다.

겨울 시즌 최고의 인기 공연 중 하나로 꼽히는 <호두까기 인형>의 공연 일정과 호프만의 원작 동화, 차이코프스키의 발레곡 내용 등에 대해 알아본다.

호두까기_인형_공연_모습_5
호두까기 인형 공연 모습,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발레 호두까기 인형, 유니버설발레단 공연, 호프만 원작 동화와 차이코프스키

     

    공연 정보

     

    기간 2023.12.21(목)~12.31(일)

    시간
    평일 19:30 / 주말 및 공휴일 14:00, 18:00
    * 12.26(화) 공연 없음
    * 12.29(금) 15:00, 19:30 2회 공연 진행

    장소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공연시간 약 120분(인터미션 20분 포함)

    가격 VIP석 13만원 / R석 11만원 / S석 8만원 / A석 4만원 / B석 2만원

    입장연령 48개월 이상

    주최 유니버설발레단, (재)세종문화재단

     

    반응형



    세종, 세종예술의전당

    2023.11.17(금)~11.18(토)
    11.17(금) 19:30, 11.18(토)  15:00

     

    천안, 천안예술의전당 대공연장

    2023. 11.24(목)~11.25(일)
    11.24(금) 19:30, 11.25(토) 15:00

     

    진주,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2023. 12.01(목)~12.02(일)
    12. 1(금) 19:30, 12. 2(토) 15:00

     

    고양,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2023. 12.08(목)~12.10(일)
    12.08(금) 19:30
    12.09(토) 15:00, 12.09(토) 19:00
    12.10(일) 15:00

     

    울산, 울산현대예술관 대공연장

    2023. 12.15(목)~12.16(일)
    12.15(금) 19:30, 12.16(토) 15:00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2023. 12.21(목)~12.31(일)

    호두까기_인형_공연_모습_1
    호두까기 인형 공연모습,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공연 예매



    인터파크티켓  

     

    * 예매가격과 각종 할인혜택이 지역마다 다르니 예매처 홈페이지와 공연장 홈페이지 참조.

    호두까기_인형_공연_모습_3
    호두까기 인형 공연모습,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줄거리, 캐스팅


    줄거리

    1막, 크리스마스 파티

    하얀 눈이 내리는 크리스마스이브, 클라라의 집에서 크리스마스 파티가 열리고 대부 드로셀마이어는 클라라에게 호두까기인형을 선물한다.

    모두가 잠든 밤, 갑자기 나타난 생쥐 대왕과 그의 군단이 크리스마스트리를 망가뜨리자, 호두까기인형과 병정들이 이들과 맞서 싸운다.

    클라라는 위기에 처한 호두까기인형을 구하고 함께 힘을 합쳐 생쥐 대왕과 군단을 물리친다. 왕자가 된 호두까기인형과 클라라는 눈송이 요정들의 축복 속에 사슴 썰매를 타고 환상의 나라의 여행을 떠난다.

    2막, 신비한 환상의 나라

    환상의 나라에서 클라라와 호두까기왕자를 위한 축제가 열린다. 초콜릿, 사탕 등 과자를 의인화한 세계 각국의 개성 있는 민속춤이 펼쳐진다.

    이윽고 사탕요정으로 변한 클라라는 호두까기왕자와 아름다운 그랑 파드되를 선보인다. 다음날 아침, 아름답고 환상적인 여행에서 돌아온 클라라는 옆에 놓인 호두까기 인형을 끌어안으며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맞는다.

    호두까기_인형_공연_모습_4
    호두까기 인형 공연모습,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제작

    원작: E.T.A 호프만,
    안무: 마리우스 프티파, 레프 이바노프 (1892), 바실리 바이노넨(1934)
    음악: 표트르 차이콥스키
    연출: 올레그 비노그라도프
    개정안무: 로이 토비아스 , 유병헌

     

    캐스팅

    클라라

    강미선, 홍향기, 손유희
    엘리자베타 체프라소바, 한상이, 이유림

    호두까기 왕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이현준, 이동탁
    강민우, 드미트리 디아츠코프


    클라라,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강미선_홍향기_손유희
    엘리자베타_체프라소바_한상이_이유림



    호두까기 왕자,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콘스탄틴_노보셀로프_이현준_이동탁
    강민우_드미트리_디아츠코프


    캐스트 스케줄

    12.21(목) 19:30 강미선,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12.22(금) 19:30 한상이, 이현준
    12.23(토) 14:00 이유림, 강민우/ 18:00 홍향기, 이동탁
    12.24(일) 14:00 엘리자베타 체프라소바, 드미트리 디아츠코프/ 18:00 강미선,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12.25(월) 14:00 손유희, 이현준/ 18:00 홍향기, 이동탁
    12.27(수) 19:30 강미선,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12.28(목) 19:30 한상이, 이현준
    12.29(금) 15:00 이유림, 강민우/ 19:30 엘리자베타 체프라소바, 드미트리 디아츠코프
    12.30(토) 14:00 홍향기, 이동탁/ 18:00 강미선,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12.31(일) 14:00 손유희, 이현준/ 18:00 엘리자베타 체프라소바, 드미트리 디아츠코프

    호두까기_인형_포스터
    발레 호두까기 인형 포스터, 출처: 유니버설발레단

     

    E.T.A 호프만의 원작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대왕>, E.T.A 호프만

    The Nutcracker and the Mouse King, 1816

    독일의 낭만주의 작가이자 음악 비평가, 고딕소설 작가, 작곡가인 E.T.A 호프만의 동화로 1816년 발표된 작품집 <어린이 동화>에 담겨있다.

    E.T.A 호프만의 작품들은 후대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슈만의 피아노 곡 <크라이슬러리아>는 호프만의 작품 속 등장인물 요하네스 크라이슬러에서 영감을 받았다.

    자크 오펜바흐의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에서 호프만이 바로 작가 E.T.A 호프만이다. 또 차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 인형>도 호프만의 원작을 각색한 발레곡이다.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대왕>의 줄거리

    크리스마스 선물로 대부 드로셀마이어로부터 호두까기 인형을 선물 받은 마리는 인형이 망가지자 정성껏 돌봐준다. 밤이 되어 시계 종소리가 울리고 생쥐들이 마리를 공격하자 호두까기 인형과 장난감들이 생쥐들과 전투를 벌인다.

    다음날 드로셀마이어는 생쥐 대왕에 의해 저주가 걸린 호두까기 인형은 진심 어린 사랑을 받아야 저주가 풀린다는 호두까기 인형의 전설을 마리에게 들려준다. 얼마 뒤 호두까기 인형은 마리가 준 칼로 생쥐 대왕을 물리치고 마리를 인형의 나라로 초대한다.

    잠에서 깬 마리에게 드로셀마이어의 조카가 찾아와 자신이 저주에 걸린 호두까기 인형이었음을 밝히고 마리에게 청혼한다.


    ▶ 호두까기 인형

    호두까기 인형



    차이코프스키의 발레곡, <호두까기 인형>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 속의 미녀>와 함께 차이코프스키의 3대 발레곡 중 하나이다.

    1890년 차이코프스키는 마린스키 극장으로부터 호프만의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대왕>을 원작으로 한 발레곡을 의뢰받았다. 뒤마가 각색하고 마린스키 극장 수석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 차석 안무가 레프 이바노프가 안무를 맡게 되었고 완성이 되기 전인 1892년 3월 8곡을 발췌해서 먼저 공연을 가졌다.

    이 모음곡이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 Op. 71a이다.
    1. 서곡 2. 행진곡 3. 사탕요정의 춤
    4. 러시아의 춤 5. 아라비아의 춤 6. 중국의 춤
    7. 갈대피리의 춤 8. 꽃의 왈츠 

    이후 완성된 곡 <호두까기 인형> Op. 71은 1892년 12월 <호두까기 인형> 발레와 함께 공연되었다. 발레는 평가가 엇갈리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차이코프스키의 음악은 호평을 받았고, 이후 시간이 지나며 발레도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호두까기 인형> 발레 안무


    마린스키 극장의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타레프 이바노프의 초연 이후 알렉산더 고르스키, 볼쇼이의 유리 그리고로비치, 뉴욕 시립 발레단의 조지 발란친 등 여러 유명 안무가에 의해 다른 버전의 안무들이 등장했다.

    볼쇼이 발레단, 마린스키 발레단, 로열 발레단, 뉴욕 시립 발레단을 비롯 국내의 유니버설 발레단, 국립발레단 등 세계의 여러 발레단이 약간씩 다른 안무와 내용으로 꾸준한 공연을 펼치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