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토픽

피그말리온 효과와 스티그마·낙인효과의 의미와 사례,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

by 호외요! 2023. 11. 24.
반응형

그리스 신화 중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아프로디테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피그말리온 효과와 그 반대 개념인 스티그마(낙인)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조지 버나드 쇼의 희곡과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도 피그말리온의 신화에서 소재를 차용했다.

피그말리온_장_밥티스트_레노_1786
피그말리온, 1786, 장 밥티스트 레노

 

피그말리온 효과와 스티그마·낙인효과, 의미와 사례,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

     

    피그말리온 효과 (Pygmalion effect)


    - 더 높은 기대가 성과의 증가로 이어지는 현상.
    -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
    - 무언가를 간절히 기대하면 그 기대와 노력이 현실로 이루어지는 현상 등으로 설명된다.

    로젠탈 효과(Rosenthal effects), 갈라테이아 효과(Galateia effects), 자성적 예언(self -fulfilling prophecy) 또는 자기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한다.

    용어의 기원(그리스 신화)

    여성을 결함이 많은 존재라 여기며 혼자 살 결심을 했던 피그말리온 왕이 자신이 조각한 갈라테이아 조각상의 아름다움에 빠져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고 조각상이 아내기 되길 원하자,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갈라테이아 조각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줬다는 그리스 신화에서 기인했다.

    사례와 효과

    1968년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과 교육자 레노어 제이콥슨의 실험.

    어느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능지수 검사를 한다음, 전체 학생 중 20%의 무작위 명단을 추려 교사들에게 주며 명단의 학생들은 지적 능력이 높아 학업성취의 효과도 클것이라 말했다. 학기 말 다시 검사를 해보니 명단에 들어있던 학생들의 지능지수와 학업성적이 크게 향상되어 나타났다.

    교사들은 명단의 학생들에 대한 기대심리로 좀 더 긍정적인 피드백과 관심으로 학생들을 지도했고, 학생들도 관심과 기대에 대한 부응심리로 이전보다 높은 성취를 이루어 낼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이처럼 피그말리온 효과는 '말이 씨가 된다', '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등의 말처럼, 무언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 예측이 바램대로 실현되는 자기 실현적, 자기 충족적인 긍정의 예언이라 할 수 있다.

    사람에 대한 믿음과 기대가 그 사람의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교육현장에만 국한되지 않고 직장, 대인관계 등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버나드 쇼의 피그말리온과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


    아일랜드의 극작가, 소설가, 비평가인 조지 버나드 쇼(1856~1950)의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의 피그말리온을 소재로 한 희곡(1912년 작)이다.

    언어학자 히긴스는 거리의 꽃 파는 소녀를 귀부인 처럼 만들수 있다며 친구와 내기를 하였고, 히긴스의 집에서 발음과 태도 등의 교정과 교육을 받은 일라이자는 사교계에 성공적으로 데뷔하지만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으며 결국 스스로의 삶을 위해 떠난다.

    그리스 신화와는 다른 결말이지만 버나드 쇼의 연극은 많은 호평을 받았고, 1938년 영화 <피그말리온>, 1956년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 1965년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로도 제작되었다.

    버나드 쇼는 자신의 희곡 원작의 결말이 바뀌는 반대했지만, 이후 제작된 대부분의 영화와 뮤지컬 등은 해피엔딩으로 결말을 가져갔다.

    - 1938 영화 <피그말리온>, 앤서니 애스퀴스 감독, 레슬리 하워드, 웬디 힐러 주연, 아카데미 각본상 수상.
    - 1956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 렉스 해리슨, 줄리 앤드류스 주연, 토니상 6개 부문 수상.
    - 1965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 조지 쿠코르 감독, 렉스 해리슨, 오드리 헵번 주연, 아카데미 8개 부문 수상.

    조각상을_사랑하는_피그말리온_장_라우_1717
    조각상을 사랑하는 피그말리온, 1717, 장 라우


    스티그마 효과 (낙인 효과)


    낙인 효과(stigma effect)

    피그말리온 효과의 반대 개념으로,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부정적인 낙인이 찍히면 그 대상의 행태가 나쁜 쪽으로 변해가는 현상, 또는 대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사회학 심리학 범죄학 정치학 경제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낙인 이론에서 유래했다.

    낙인 효과는 범죄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 상태, 신체 장애, 인종, 성별, 성적 지향 또는 사회 경제적 지위와 같은 다양한 속성에 부착될 수 있다.


    낙인 이론(labeling theory)

    일탈이나 범죄 등 특정 행위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부정적 낙인이 그 행위자들의 격리와 소외로 이어져, 불법적 기회와 일탈을 더 증대시킨다는 이론. 1차 일탈의 원인보다는 사회과정, 사회반응 속에서 일어나는 2차 일탈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례

    -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에 대한 지속적인 부정적인 편견은 그들이 새로운 삶을 살아갈 의지를 꺾어버릴 수 있고, 결국 재범을 저지를 확률이 높아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 어린아이를 '바보'라고 낙인찍고 계속 놀리면 아이는 갈수록 의기소침해지면서 자신을 진짜 바보로 의심하여 동일시하게 될 수 있다.

    - 인종이나 정신 건강, 신체 장애 등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낙인으로 이어져 사실 여부아 인간의 존엄과 상관없이 차별, 배척되는 사례가 많다.


    낙인 효과의 문제와 병폐

    사회적 고정관념: 낙인은 종종 특정 집단이나 상태에 대한 고정관념과 오해에서 비롯됩니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편견을 가진 태도, 차별, 배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회적, 집단적 낙인을 경험한 개인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믿음을 내면화하여 자존감, 자아 가치, 정신적 안녕감을 낮출 수 있다. 낙인이 찍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타인에게 도움을 구하거나 자신들의 신분이나 상태를 드러내는 것을 단념하거나 포기할 수 있다.

    낙인은 개인 차원의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와 제도에도 내재될 수 있다. 의료, 교육, 고용 등에서 특정 집단을 차별하는 법과 정책은 구조적 낙인에 기여하고, 이로인한 고정관념과 편견이 사회에 스며들어 차별과 배척의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