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토픽

자칭 보수정당 국민의힘, 집단사고로 무장한 자기애적 성격장애 정당의 악의 평범성과 인지부조화

by 호외요! 2024. 12. 31.
반응형

내란 수괴 윤석열과 김용현, 윤석열 탄핵을 인질 삼아 정권 연장의 개꿈을 꾸는 국힘당의 망상적 언행과 발악이 갈 데까지 가고 있다.

헌법 질서를 뒤흔들고 궤변의 종합사전을 집필하고 있는 윤석열과 일당들의 현실 인식 수준을 심리학적, 철학적, 정신의학적 이론을 통해 살펴본다.

집단사고
집단사고와 악의 평범성

 

자칭 보수정당 국민의힘, 집단사고로 무장한 자기애적 성격장애 정당의 악의 평범성과 인지부조화

     

    정신착란 수준의 윤석열과 일당, 자칭 보수 국힘당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은 위헌적이고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내란을 일으켰다.

    계엄군을 국회로 보내 총을 쏴서라도... 도끼로 문을 부수고... 계엄해제를 못하도록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지시하고 사회 주요 인사들의 체포 및 감금 계획, 북한과의 전쟁 유도 등 끔찍한 계획을 세운 것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런데도 윤석열은 수사 소환에 불응하고 자신의 범죄를 별일 아니라는 듯 합리화하고 있다. 거기에 여당인 국민의힘도 윤석열의 탄핵을 반대하고, 내란을 인정치 않으며 공식적인 반성의 한마디를 내놓지 않고 있다.


    지랄발광의 향연


    - 야당에 경고하려 비상계엄했다. (윤석열)

    - 정치적, 법적 책임 피하지 않겠다. (윤석열)

    - 이재명 불출마 선언하면 윤석열 탄핵할 수 있다. (국힘당)

    - 법적 문제없는 통치 행위다. (윤석열)

    - 국헌준수, 헌법질서 수호 위해 계엄했다. (윤석열)

    - 윤석열의 계엄은 질서 있고 절제력 갖춘 힘의 행사다. (신평)

    - 정당하고 합법적인 기관에서 수사해야 수사에 응하겠다. (윤석열)

    - 대통령 권한대행이니 거부권 행사 당연하다. (한덕수)

    - 권한 대행이니 대통령 권한 자제해서 헌법재판관 임명 안 한다. (한덕수)

    - 경제 불안, 외환위기 오면 민주당 탓이다. (국힘당)


    - 이재명과 한동훈 등을 계엄법 위반으로 고발하겠다. (김용현)

    - 한덕수 탄핵은 국무총리 직무만 정지고 권한대행은 유효하다. (국힘당)


    도덕적 후안무치와 막무가내인 법적 해석과 궤변, 저들의 이토록 무책임하고도 참담한 인지부조화의 뻔뻔한 난동을 무어라 불러야 하고 어찌 상대해야 옳은가?

    민주주의 규범과 법치주의의 심각한 붕괴를 자초하며 집단 최면에 걸린 듯,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수준을 넘어선 쓰레기 같은 인식을 보여주는 저들의 집단 광기를 심리학적 철학적 의학적 이론을 통해 살펴본다.

     

    집단사고(groupthink)의 희생자들


    <집단사고: 정책 결정과 대실패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어빙 재니스


    어빙 재니스는 '집단사고'를 '응집력이 강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어떤 현실적인 판단을 내릴 때 만장일치를 이루려고 하는 사고의 경향'이라고 정의했다.

    응집력 있는 그룹의 구성원이 비판적 사고보다 만장일치 합의를 우선시하면 반대 의견이 억압되고 도덕적 고려가 무시된다. 국민의힘이 윤석열을 여전히 붙들고 있는 것의 이익이 법적·윤리적 추론보다 우선한다는 집단사고를 반영한 영향이 크다.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일에서조차 그룹 내의 결속된 분위기를 깨지 않으려는 강한 욕망, 이것이 집단사고를 낳는 주범이다.

    정책 결정, 집단 내부의 구성원들 사이에 결속이 크면 클수록, 독립적인 비판적 사고가 집단사고에 의해 대체될 위험성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사고는 집단 외부를 향한 비합리적이고 비인간적인 행동을 취하게 만든다.

    역사적으로 권위주의 정권에서는 고위 공직자들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극단적인 조치를 합리화하는 집단 사고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반응형



    권위주의와 도덕의 고찰


    권위주의적 인격, 성격(테오도르 아도르노)

    이 이론은 특정 개인이 권위에 대한 복종, 외부집단에 대한 공격성, 경직된 계층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는 권위주의 경향이 있음을 암시한다.

    집단적 나르시시즘: 집권당이 이례적이며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방어되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인해 편집증이 조장되고 극단적인 조치에 대한 정당화가 조장된다.


    도덕적 이탈(앨버트 반두라)

    이 메커니즘은 개인이 비윤리적 행동을 필요한 것으로 재구성하여 합리화하거나 피해를 하찮게 여기면서 어떻게 정당화하는지를 설명한다.

    자신들의 행태에 대해 합리적인 설명이 궁색할 때 '국가 안보' 또는 '사회 안정', '국정 안정'과 같은 본질을 회파한 구호로 비민주적 행위를 합리화한다.


    악의 평범성, 한나 아렌트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은 독일 출신의 유대인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독일 나치 장교였던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과정을 기록한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 등장하는 용어이다.

    나치에 의한 유대인 학살(홀로코스트)은 광신도나 반사회적 성격장애자가 아닌 상부의 명령에 순응한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음을 말하는 개념이다.


    나치 관료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분석은 일반 개인이 정신병에서가 아니라 권력자의 명령을 따르고 자신의 행동을 정상화함으로써 어떻게 끔찍한 행동을 저지르는지를 강조한다.

    다른 사람의 처지를 생각할 줄 모르는 생각의 무능, 말하기의 무능, 판단(행동)의 무능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지 않고 권력의 명령을 무작정 따르는 '악의 평범성'으로 엄청난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철학적 허무주의: 도덕적 원칙을 거부하여 권위주의적 조치에 대한 무관심이나 자신의 정당화나 합리화를 초래한다. 이는 곧 윤리적 책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플라톤의 <국가>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의 편의적 각색


    플라톤의 <국가> 제6권

    플라톤은 자격이 없는 지도자들이 조작과 공개적 기만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면 국가가 혼란에 빠지게 된다고 경고했다. 지도자들이 공동의 이익보다는 개인적인 이익에 이끌려 무모해질 수 있고 불행은 사라지지 않는다며 '선한 이데아'를 가진 철인의 통치를 주장했다.


    마키아벨리즘의 <군주론> 오용

    속임수, 강압, 공포를 통해 권력을 유지하는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사고방식을,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서 편의적 목적으로 차용하여 정치인의 정당한 방법론처럼 무장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정신의학적 질환


    집단 자기애적 성격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는 개인에게 적용되는 반면, 집단 자기애적 성격장애는 과대성, 공감 부족, 우월성에 대한 믿음 및 통치 자격과 같은 자기애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정치적 맥락의 증상으로 설득 불가능에 대한 왜곡된 인식, 비판에 대한 편협함, 반대자에 대한 박해로 표출된다.


    대량 심인성 질환

    환경 및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생기는 정신장애 및 신체장애인 심인성 질환은 극단적인 경우 집단은 공유된 망상이나 히스테리를 경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반면, 이 개념은 도덕적, 정치적 위기에 은유적으로 적용된다.


    사이코패스 및 소시오패스(집단적 규모)

    반사회적 성격장애는 전통적으로 개인의 장애이기는 하지만 정치 시스템은 조직에 공감, 후회 또는 사회적 합의에 대한 존중이 부족한 제도적 정신병을 조장할 수 있다.


    정치적 부패와 합법성의 위기


    자신을 엘리트라 생각하는 집단이 법적인 틀보다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면 민주적 제도가 침식될 수 있다. 이는 권위주의적 표류, 견제와 균형의 붕괴, 부패와 타락의 정규화를 초래한다.

    정부가 정당성을 잃으면 지도자들은 계엄령을 발동하거나 반대 의견을 진압하여 시민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을 합리화하는 것은 현실에 대처하지 못함을 반영하며 권위주의로의 회기를 강화한다.


    - 도덕적 붕괴: 윤리적 책임의 포기.

    - 정치적 병리학: 체계적 규모의 정신 질환과 유사한 역기능적이고 해로운 거버넌스 패턴.

    - 제도적 망상: 이기적인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집단적으로 현실을 부정하는 것.

    - 민주적 정신분열증: 민주적 제도가 존재하지만 권위주의적 충동에 의해 훼손되는 상태.

    - 사회정치적 정신병: 시민 복지를 계산적으로 무시하는 것이 특징인 거버넌스.


    이것은 집단 광기인가?


    의학적 의미의 광기보다는 병리학적 거버넌스(국정, 행정)로 볼 수 있다. 지도자들이 비윤리적인 행동을 정규화 일반화 할 때, 정치 구조는 심리적 장애와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사이코패스 개인과 달리 정치적 권력 행위자는 개인의 병리가 아닌 권력 보존의 틀 내에서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는 경우가 많다. 진정한 위험은 개인의 병리가 아니라 도덕적으로 무관심한 리더십이 체계적으로 굳어지는 데 있다.

    윤석열의 비롯, 자칭 보수정당이라는 여당 국민의힘이 위와 같은 심리적, 철학적, 정신의학적 심각한 오류와 병리학적 위험 증세를 나타내고 있다.


    ▶ 위헌정당 해산심판과 정당해산 법 조항, 통진당 뛰어넘는 국민의힘 해산 사유, 국힘 해산 청원 바로가기

     

    위헌정당 해산심판과 정당해산 법 조항, 통진당 뛰어넘는 국민의힘 해산 사유, 국힘 해산 청원

    여당 국민의힘은 윤석열을 인질로 삼아 윤석열의 탈당 반대, 탄핵도 반대하며 윤석열의 즉각 직무정지와 퇴진을 원하는 국민을 상대로 딜을 요구하며 난동을 부리고 있다.목불인견, 이젠 더 이

    artopic.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