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토픽

선동과 혐오 조장 말곤 할 줄 아는 게 없던 역사 속 극우 파시즘과 파시스트의 처참한 결말

by 호외요! 2025. 3. 30.
반응형

역사는 반복된다. 극우 파시스트 정권은 일시적으로 강력해 보일 수 있지만, 결국 내부 부패, 국민 반발, 국제사회 제재 등으로 인해 붕괴하는 모습을 어김없이 보여왔다.

이유는 간단하다. 극우 파시즘과 파시스트의 이기적이고 추악한 위선과 난동은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극우_파시즘의_위험성
극우 파시즘의 위험성

 

선동과 혐오 조장 말곤 할 줄 아는 게 없던 역사 속 극우 파시즘과 파시스트의 처참한 결말

     

    나치 독일 (1933~1945), 아돌프 히틀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심각한 경제 문제와 정치적 불안정에 직면했다. 베르사유 조약(1919)은 전범국에 엄청난 배상을 부과하여 독일을 압박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당은 독일의 위대함을 회복하겠다고 선언하고 소수 민족, 특히 유대인을 국가 문제의 책임으로 돌리면서 지지를 얻었다.

    히틀러는 1933년에 총리가 되었고, 곧이어 자신을 총통이라고 선언하면서 모든 반대 세력을 제거했다.


    나치와 히틀러의 주요 행보

    - 선전, 비밀경찰(게슈타포), 그리고 정치적 반대자들에 대한 탄압을 통해 전체주의 국가를 수립했다.

    - 독일의 군사력을 확장하고 공격적인 확장을 추구했다.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폴란 등)

    - 1939년 폴란드를 침공하며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 홀로코스트: 600만 명의 유대인과 수백만 명의 다른 사람들을 학살했다.

    - 전쟁을 유럽, 북아프리카, 소련 전역으로 확대했지만 스탈린그라드 전투(1942년) 이후 전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추락과 결말

    1944 ~1945: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연합군은 서쪽에서 진격했고, 소련은 동쪽에서 진격했다.

    1945년 4월: 소련군이 베를린에 진입하고 히틀러는 벙커로 피신했다.

    1945년 4월 30일: 히틀러는 아내 에바 브라운과 함께 자살했다.

    1945년 5월 8일: 독일의 무조건 항복.

    나치 지도자들은 뉘른베르크 재판(1945 ~ 1946)에서 판결을 받고 많은 사람들이 처형되거나 투옥되었다. 독일은 동독과 서독으로 분단되었다.


    이탈리아 파시즘 (1922~1945), 베니토 무솔리니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경제 위기와 정치적 불안정으로 고통받았다. 파시스트당의 지도자 무솔리니는 반대파를 진압하기 위해 준군사단체(블랙셔츠)를 사용했다.

    1922년 3월 로마, 무솔리니는 빅토르 에마누엘레 3세 국왕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다. 1925년까지 그는 자신을 일 뒤스(Il Duce, 지도자)라고 선언하고 전체주의 국가를 세웠다.


    무솔리니의 주요 행보

    - 정치적 반대를 억압하고 언론을 통제했다.

    - 에티오피아 침공(1935년) 및 제2차 세계 대전(1939년)에서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었다.

    - 이탈리아 군대는 북아프리카와 그리스에서 큰 패배를 겪었다.

    - 1943년 연합군이 이탈리아를 침공하면서 무솔리니는 권력에서 물러났다.


    추락과 결말

    - 1943년 7월, 무솔리니는 빅토르 에마누엘레 3세 국왕이 그에게 등을 돌린 후 체포되었다.

    - 1943년 9월, 독일이 그를 구출하여 북부 이탈리아에 꼭두각시 통치자로 임명했다.

    - 1945년 4월,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자 무솔리니는 도망치려 했으나 이탈리아 게릴라들에게 붙잡혔다.

    - 1945년 4월 28일, 무솔리니는 그의 정부인 클라라 페타치와 함께 처형되었다. 그들의 시신은 밀라노에서 공개적으로 전시되었다.



    일본 군국주의 (1930년대~1945), 도조 히데키


    일본은 빠르게 산업화되었지만 천연 자원이 부족하여 제국의 팽창을 시도했다. 군대는 민주주의를 제쳐두고 정부를 장악했다.

    강경한 군사주의자였던 도조 히데키는 1941년에 총리가 되어 공격적인 확장을 추진했다.


    도조 히데키의 주요 행보

    - 만주를 침공(1931년), 중국을 침공(1937년) 후 난징 대학살과 같은 잔학 행위를 저질렀다.

    -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 7일)으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 태평양의 광대한 영토를 정복했지만 연합군의 저항에 직면했다.

    - 미드웨이(1942), 과달카날(1943), 그리고 이오지마(1945)에서 패배했다.


    추락과 결말

    - 1945년 8월, 미국이 히로시마(8월 6일)와 나가사키(8월 9일)에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 1945년 8월 15일, 히로히토 천황이 일본의 항복을 발표했다.

    - 도조 히데키는 자살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미군에 의해 체포되었다.

    - 1948년 12월 23일, 도조 히데키는 전쟁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 일본은 미국 점령 하에 군국주의는 붕괴하였고 평화주의 헌법을 채택했다.


    반응형

     

    스페인 프랑코 정권 (1939~1975), 프란시스코 프랑코


    스페인은 공화주의자(좌파)와 민족주의자(우파, 군주주의자, 군사)로 깊이 분열되어 있었다. 프랑코는 1936년 군사 쿠데타로 스페인 내전(1936~1939)을 일으켰다.

    히틀러와 무솔리니의 지원으로 프랑코의 군대는 공화당원들을 제압하고 1939년 파시스트 독재 정권을 수립했다.


    프랑코의 주요 행보

    - 정치적 반대자를 탄압하고 수만 명을 처형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중립을 유지했지만 추축국의 열강에 동조했다.

    - 전쟁이 끝난 후, 억압과 경제 통제를 통해 권력을 유지했다.


    추락과 결말

    -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스페인은 경제적으로 현대화되었지만 정치적으로 억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 1975년, 프랑코가 병으로 사망하며 독재가 끝났다.

    - 스페인은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하에서 민주주의로 전환했다.



    칠레의 피노체트 군사독재 (1973~1990),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1973년, 피노체트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사회주의자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에 대한 군사 쿠데타를 주도했다. 군사 독재를 확립하고, 의회를 해산하며, 정당을 금지했다.


    피노체트의 주요 행보

    - 수천 명의 반대자들이 투옥되거나 고문을 당하거나 실종되었다.

    - 신자유주의 경제 개혁을 채택하여 경제 성장뿐만 아니라 불평등도 초래했다.

    - 정치적 반대자를 없애기 위해 비밀경찰(DINA)을 사용했다.


    추락과 결말

    - 1988년, 국제적인 압력과 내부 불만으로 인해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다수가 피노체트의 군부 독재 통치에 반대표를 던졌다.

    - 1990년, 물러났지만 육군 참모총장으로 남았다.

    - 1998년, 영국에서 인권 침해 혐의로 체포되었지만 재판을 피했다.

    - 2006년, 가택 연금 상태에서 사망했다.



    극우 파시즘이 국가와 사회에 끼치는 악영향


    1. 정치적 영향: 민주주의와 법치의 파괴

    - 독재 체제 강화 및 인권 탄압
    파시즘과 극우 정권은 필연적으로 독재 체제로 운영되며, 정치적 반대 세력을 탄압한다. 언론 통제와 검열을 통해 대중을 선전·선동하고, 비판적 목소리를 억압한다.

    나치 독일의 게슈타포(비밀경찰), 이탈리아 무솔리니의 검열과 폭력 정치, 스페인 프랑코 정권의 정치적 숙청 등이 그 예이다.

    - 법치주의 훼손 및 사법기관의 정치화
    법은 정권의 우두머리의 이익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변질되며, 공정성이 사라진다. 법원과 경찰, 군대가 정치적 도구로 활용되어 독재자의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나치 독일의 '수권법(1933)'로 의회 해산, 칠레 피노체트 정권의 군사재판 남용 등에서 볼 수 있다.

     

    2. 사회적 영향: 폭력과 공포정치 확산

    - 사회적 갈등 조장과 내부 분열
    파시즘 정권은 '적을 설정하여 국민을 단결시킨다'는 전략을 사용한다. 특정 인종, 계층, 이념 집단을 공격하면서 내부 대립을 부추긴다.

    나치의 반유대주의 정책(홀로코스트), 일본의 조선, 중국 탄압.

    - 공포정치와 밀고 문화 조성
    비밀경찰과 감시체계를 이용해 국민을 감시하며, 서로를 감시하게 만든다. 시민들이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신고하도록 유도하여 신뢰를 파괴한다.

    동독의 슈타지(비밀경찰), 나치 독일의 게슈타포와 밀고 문화.


    3. 경제적 영향: 전쟁 경제와 빈부격차 심화

    - 전쟁 경제 체제로 전환
    파시즘 정권은 군사력을 강화하고 경제를 전쟁 준비 체제로 개편한다. 단기적으로 경제가 활성화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원 고갈과 경제 붕괴를 초래한다.

    나치 독일의 군비 확장은 2차 세계대전 패전 후 경제 파탄을 가져왔고, 일본 제국의 대동아공영권은 패전 후 경제 붕괴를 초래했다.

    - 불평등 심화와 노동 탄압
    경제 정책이 소수의 기업가와 군부 엘리트에게 유리하게 작동하며, 노동자와 서민층은 착취당하는 구조다. 노동조합이 해체되고, 노동자의 권리가 극도로 제한된다.

    이탈리아 무솔리니의 '기업 국가론'은 노동자를 탄압했고, 스페인 프랑코 정권도 빈부격차를 심화시켰다.

     

    4. 국제적 영향: 전쟁과 외교적 고립

    - 전쟁 및 국제 갈등 유발
    극우 정권은 자국의 이익을 외치며 타국을 침공, 점령하는 확장주의와 군사적 공격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반발을 초래하고, 전쟁으로 이어진다.

    나치 독일의 유럽 침공(제2차 세계대전), 일본 제국의 태평양 전쟁, 러시아 푸틴 정권의 우크라이나 침공.

    - 국제적 고립과 경제 제재
    극우 정권은 강압적 외교 정책으로 인해 외교적으로 고립되고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를 받아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국민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 북한 김정은 정권의 경제 제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서방의 제재.

     

    5. 문화적 영향: 창의성 억압과 역사 왜곡

    - 예술과 학문의 탄압
    극우 정권은 자신들에게 비판적인 문화와 예술, 학문을 억압한다. 예술가와 학자들은 검열을 당하거나 처벌받으며, 자유로운 창작과 연구가 불가능해진다.

    나치 독일의 '퇴폐 예술' 탄압, 스탈린 정권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요.

    - 역사 왜곡과 세뇌 교육
    정권에 유리한 방식으로 역사를 왜곡하며, 국민들에게 왜곡된 교육을 강요한다. 비판적 사고를 억제하고, 선전물을 이용해 독재자를 우상화한다.

    북한의 김일성 우상화 교육, 중국 문화대혁명 기간 마오쩌둥 선전물 확산.



    파시즘과 극우 정권의 공통된 결말


    - 파시즘 정권 초기에는 강력한 선전 선동, 폭력적 통치로 정권을 유지하지만 점차 국민의 반발과 저항에 부딪히고 국제사회의 압력에 직면하며 체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 군사적 팽창 정책은 필연적으로 적을 만들고, 외교적 고립 속에 전쟁에서 패배하며 몰락했다.

    - 경제는 붕괴되고 국민의 생활 악화되며 기득권으로 쏠린 부는 빈부의 격차만 심화시킨다.

    - 극우 파시즘 정권의 대부분의 지도자는 전쟁에서 패배한 후 처형, 사살, 자살 등의 비참한 결말을 맞았다.


    역사적으로도 반복되며 증명된 극우 파시즘과 파시스트들의 대중 기만과 독재, 극악의 이기주의로 점철된 권력의 이익 추구는 '강력한 국가'라는 허황된 구호로 포장되었다.

    윤석열 정권의 시작과 비상계엄, 내란 사태 등 현재 대한민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꼴사나운 모습은 역사 속 극우 파시즘의 행태와 결말을 그대로 답습하며 반복되고 있다.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기득권의 추잡스러운 선전 선동과, 헌법과 사법 질서를 무시하며 사회 혼란을 부추기는 전형적인 극우 파시즘의 저질스런 내란 획책이...

    이전에는 감히 함부로 나서지 못하고 국가와 사회 곳곳에 위장하고 숨어있던 곰팡이 같은 막가파 극우들이, 2025년 대한민국에서 그 종말을 앞두고 최후의 발악을 하고 있다.


    ▶ 한덕수 탄핵 기각 쟁점과 내용 정리, 헌법을 위반했지만 파면은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부작위

     

    한덕수 탄핵 기각 쟁점과 내용 정리, 헌법을 위반했지만 파면은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부작위

    헌법재판소는 국무총리 한덕수의 탄핵심판에서 기각 5인, 인용 1인, 각하 2인의 판결로 탄핵심판 철구를 기각했고 한덕수는 직무에 복귀했다.'헌법을 위반했지만 파면은 아니다'라는 기괴한 결

    artopic.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