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토픽

잘못된 역사 상식, 콜럼버스 나폴레옹 앙투아네트 아인슈타인 등

by 호외요! 2023. 9. 18.
반응형

오랜 시간을 지나며 우리가 막연히 잘못 알고 있거나, 다소 의도적인 가공에 의해 사실과 다르게 전해진 역사적 사실들이 꽤 많이 있다.

높은 확률로 다수의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고 잘못 전해진 역사적 사실들에 대해 알아본다.
 

아메리카에_도착한_콜럼버스
아메리카에 도착한 콜럼버스

L. Prang & Co., Boston,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잘못된 역사 상식, 콜럼버스 나폴레옹 앙투아네트 아인슈타인 등

     

    1. 아메리카 신대륙을 처음 발견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1492년 콜럼버스의 지휘로 산타 마리아 호를 포함한 세척의 배가 도착한 곳은 현 바하마 제도의 섬이었다. 그곳을 인도라고 생각한 콜럼버스는 그곳의 원주민들을 인디오라고 불렀다.

    아메리카 대륙에는 이미 오래전부터 다양한 부족 국가형태로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고, 콜럼버스가 도착하기 500년 전에 북유럽인들이 다녀간 사실을 비롯 많은 아메리카 대륙의 도착 기록이 밝혀졌다.

    유럽의 식민지 정복 역사와 신흥 미국의 개척 신화 만들기의 관점으로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이 미화된 점이 있고, 콜럼버스의 원주민에 대한 무자비한 탄압은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콜럼버스에 대한 막연한 위대한 탐험가의 이미지는 많은 왜곡이 있다.


    2.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키는 매우 작았다


    나폴레옹 콤플렉스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나폴레옹의 키는 매우 작았다고 대중들에게 알려져 왔지만, 그의 키는 약 5피트 2인치당시 프랑스 남성의 평균 키였다고 한다.

    일부 학자는 당시 계측법의 혼동으로 나폴레옹의 키는 5피트 7인치(1.7 미터)였다고 주장한다. 당시 프랑스와 대척점에 있던 영국의 언론이 나폴레옹에 대해 다혈질적인 소인으로 묘사한 것이 그의 작은 이미지의 고착화에 기여를 했다.

     

    3. 마리 앙투아네트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게 하라"


    프랑스 국민들이 굶주림에 고통받는다는 소리에, 루이 16세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가 실제로 이 문구를 말했다는 증거는 없다.

    마침내 나는 농부들이 빵이 없다는 말을 들었을 때, "그럼 그들이 브리오슈를 먹게 해 주세요."라고 대답한 위대한 공주의 마지막 수단을 기억했습니다. - 장 자크 루소 <고백서> 중에서


    루소의 책이 완성된 1769년은 앙투아네트가 14세 때이며 아직 프랑스에 있지 않을 때이다. 위의 문구는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공국의 정략적 결혼 당시부터 정치계 있던 불만과 그녀를 향한 온갖 나쁜 소문의 연장과도 같다.

    당시의 격한 정치 풍토 속에 프랑스 왕정과 외국인(오스트리아) 출신의 왕비에 대한 불만이 혁명적 비판가들에 의해 마리 앙투아네트의 말로 덧씌워졌을 가능성이 크다.

    마리_앙투와네트의_처형식
    마리 앙투와네트의 단두대 처형식, 1793

    See page for autho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4. 뿔 달린 헬멧을 쓴 바이킹들


    중세 노르만족 해적의 대명사가 된 바이킹들은 전투에서 뿔 달린 헬멧을 쓰지 않았다. 이 이미지는 후대의 예술적 묘사에서 나온 것이며 역사적 근거가 없다.

    1876년 처음 시작된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공연된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를 위해 화가이자 의상 디자이너인 칼 에밀 도플러는 뿔 달린 헬멧을 제작했고, 이후로 북유럽 신화 구축의 움직임 속에 바이킹의 투구에는 뿔이 계속 등장하게 되었다.   


    5. 우주에서도 중국 만리장성이 보인다.


    만리장성은 우주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중국 최초의 유주인 양리웨이는 2003년 지구로 귀환 후 우주에서 만리장성을 볼 수없었다고 말했다. 2004년 중국 과학원도 사람의 눈으로 우주에서 만리장성을 관측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6. 아인슈타인은 학교에서 수학을 못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어릴 때부터 물리학과 수학에 뛰어났다. 가정교사인 막스 탈무드는 12살의 아인슈타인에게 기하학 교과서를 주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인슈타인은 책 전체를 다 읽었다고 말했다. 아인슈타인은 아직 14살일 때 적분학과 미분학을 마스터했다고 기록했다.

    아인슈타인은 후에 학교의 엄격한 암기식 정책이 창의력에 해롭다고 말했는데, 이런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에 대한 그의 반감이 이와 같은 사실과 다른 신화를 만들어낸 듯하다.


    반응형

     

    7. 뉴턴은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개발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인 아이작 뉴턴이 사과나무 아래서 쉬고 있다가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일화는 지어진 내용이다.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스터클리가 쓴 뉴턴에 대한 회고록에 뉴턴이 중력, 즉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사과를 이용했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위의 사과나무 아래에서의 일화는 아무 근거가 없다. 또한 뉴턴 이전에도 물건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지구의 인력 때문이라고 생각한 과학자들이 꽤 있었다.

     

    8. 조지워싱턴의 틀니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턴은 30세가 되기 전 치아가 빠지기 시작해 모든 치아를 잃었다. 하지만 널리 알려진 것처럼 그의 틀니는 나무가 아니라 사람의 치아, 동물의 치아, 상아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다.

    워싱턴의 틀니가 나무라는 믿음은 역사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고 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는데, 상아가 변색되며 나무처럼 보였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